현장실습 Field Practice
안경조제 및 가공 과정과 굴절이상 검사의 전반적인 이론과 실습을 익혀 현장에서 직접 임상능력을 배양한다.
안경학개론ⅠII Introduction of Optometry ⅠII
안경학의 입문과정으로 시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는 안과학, 눈의 광학적인 원리를 익히는 안광학, 시기능검사와 양안시이상, 안경을 가공하여 피팅에 이르는 조제가공학 등 실기과목을 포함한 눈의 전반적인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는 학문이다.
의학용어 Medical Terminology
눈과 관련된 해부와 생리, 광학, 검안, 질환, 안경 및 콘택트렌즈에 대한 학문적 기초인 용어 정의와 개념을 학습하며 개정된 용어를 완벽히 학습하여 처방전의 표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기초의학 Basic Medicine
눈의 각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굴절이상안의 원인과 종류 및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으며 눈의 영양공급원과 지배신경분포 등을 학습하여 전반적인 안과학 분야의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시기해부학 Ocular Anatomy
눈알 내용물의 기능과 영양공급원, 눈꺼풀, 안근, 눈물기관, 안와, 결막 등의 눈부속기의 구조와 조직학적 특징을 학습하여 안경사가 자주 접할 수 있는 안질환의 증상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시기생리학 Ocular Physiology
사물을 보는 감각 기관인 눈의 광학적 상태를 이해하고, 양안시 문제의 주원인인 조절과 폭주 문제, 물체가 상으로 눈에 들어와 망막을 통해 대뇌에서 인식할 때까지의 과정을 이해한다.
안질환IⅡ Eye Diseases ⅠⅡ
시기해부학에서 익힌 눈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바탕으로 눈의 일반적인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시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시기능검사와 양안시이상에 대한 기초적인 안목을 갖게 한다.
시기능이상 및 실습 Binocular Vision Anomalies
양안시기능 검사의 이론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눈의 광학적, 생리적, 의학적 상태를 고려한 분석을 통해 양안시기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사시학 Strabismology
정상적인 시력과 시각발달로 양안시가 발달하고 완성이 되나 선천적이거나 환경적 요인으로 양안시감각이상이 생겨 입체시를 비롯한 눈의 운동이 정상적이지 못할 때의 증상과 종류에 대해 학습하여 실질적인 업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보건관계법규 Health & Medical Laws
보건의료 관련 업무를 수행하면서 필요한 지식의 하나인 의료관계법규에 관련된 기초지식을 습득하도록 의료관계법규의 내용을 검토하고 정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증진에 둔다.
안경조제 및 가공ⅠII Ⅲ Optometric Dispensing ⅠII Ⅲ
안경조제 및 가공학 이론을 바탕으로 처방서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충족시킬 수 있는 조제가공 능력을 숙달시킴으로써 현장실무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교과과정이다.
안경조제 및 가공실습ⅠII Ⅲ Optometric Dispensing Practice ⅠII III
안경조제 및 가공학이론을 바탕으로 처방서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실습을 통해서 숙달시켜 자신감있는 전문 안경사가 될수있도록 학습한다.
특수렌즈조제 및 가공 Specialized Ophthal Dispencing
안경조제 및 가공의 과정 중 누진다초점렌즈, 이중및삼중초점렌즈, 편광렌즈, 하프톤렌즈 등 특수렌즈의 이론적 학습과 조제 및 가공을 심층적으로 행함으로서 특수렌즈를 접할시 문제를 해결할수 있도록 학습한다.
응용안경조제 및 가공실습 Applied Optometric Dispensing Practice
안경원 경영에 필요한 점포관리, 생산관리, 매입과 재고관리 및 재무관리를 학습하고 검안, 조제, 판매를 종합적으로 경험함을 학습하여 취업 시 대처할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학습한다.
안광학기기 및 실습 Optometric Instrumentation & Practice
안경사로서 사용하게 될 여러 가지 광학기기에 대한 이해와 원리를 습득한다. 안굴절력계, 케라토미터, 자각굴절검사기인 포롭터 등 광학기기 기초동작과 굴절검사, 양안시 기능 검사에 필요한 검사방법의 기초이론을 학습하게 된다.
안경수학 Ophthalmic Mathematics
기하광학이나 안경광학에서 필요로 삼각함수, 복소수, 벡터, 행렬, 좌표, 기하 등의 수학적 기초이론을 학습하여 임상적 처방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안경광학ⅠⅡ Ⅲ Ophthalmic Optics I Ⅱ Ⅲ
눈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수차와 초점심도 등을 활용하여 비정시안의 과학적 교정으로 각 굴절이상에 맞는 올바른 처방을 할 수 있게 하고 안경렌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리즘 현상, 근용안경의 처방 및 검사법, 근용안경의 굴절력과 가입도 등을 학습하여 안광학기기실습이나 타각굴절검사실습시간의 이론적 바탕이 될 수 있도록 학습한다.
기하광학Geometrical Optics
안경광학의 기초가 되는 빛의 일반적인 성질을 이해하고 가우스광학의 개념을 숙지시켜 거울과 렌즈의 결상위치, 배율, 수차, 프리즘의 작용 등을 이해시키고 빛의 전파, 굴절, 얇은 렌즈, 렌즈의 설계 등을 이해시켜 안경광학에 응용할 수 있도록 초급 및 중급이론을 학습한다.
물리광학Physical Optics
빛의 물질과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기초적인 현상을 편의상 빛의 성질과 물질의 광학적 성질을 크게 나누어 취급한 과목으로 기초 물리학에서 익힌 역학과 광학의 내용을 토대로 시기능검사, 안경렌즈, 재료학에서 이용되는 회절, 간섭, 편광, 흡수, 투과, 반사, 굴절, 레이저, 빛의 에너지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게 한다.
타각적굴절검사 및 실습 Objective Refraction & Practice
검안경, 레티노스코프, 안압계, 시야계의 구조 및 사용방법 등 광학기기의 구조와 측정원리 및 기기의 특징과 사용법을 상세하게 이해시키고 안광학기기를 직접 사용하여 시력측정을 함으로서 실무 능력을 키운다.
자각적굴절검사 및 실습 Subjective Refraction & Practice
자각적 원용 및 근용 굴절검사의 정의와 의의, 굴절이상의 유형별 원인과 분류 및 교정방법, 자각적 단안굴절검사 측정과정 및 측정방법, 노안가입도 구하는 방법에 능숙해지도록 훈련한다.
안기능검사 및 실습 Visual Function Tests & Practice
안경학개론에서 학습한 이론적인 내용의 강화로 나안시력검사, 색각검사, 시야검사, 동공반응검사 등을 실습하여 임상적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양안시검사 및 실습ⅠⅡ Binocular Vision Tests &ⅠⅡ
사위와 사시, 약시, 부동시, 부등상시 등의 양안시이상의 실질적 검사방법의 이론적 교육을 통하여 그에 따른 처방법을 학습하고 시기능 발달에 저해되는 요인을 파악하고 양안시이상의 실질적 검사방법을 반복 실습을 통해 능숙한 검사 실력을 쌓을 수 있도록 한다.
콘택트렌즈학 및 실습ⅠⅡ Contact Lens & PracticeⅠⅡ
콘택트렌즈와 안경의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과 교정시의 이상 유무, RGP 콘택트렌즈와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적 특성과 처방법, 올바른 피팅법을 이론과 실습으로 익힌다.
특수콘택트렌즈실습 Specialized Contact Lens Practice
의료용구로서의 콘택트렌즈의 처방에 따른 충혈, 자극감, 유루 등의 부작용의 예방하고 성공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관리방법 등을 학습하여 모노비전, 누진다초점렌즈, 치료용렌즈, 미용목적용렌즈 등의 특수콘택트렌즈의 특징과 지식을 익힌다.
안경재료학응용Specialized Contact Lens Practice
안경재료학은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테와 안경렌즈를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을 알아보는 교과과정이다.안경테의 소재특성과 기능을 학습하여 안경원에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기능성 안경렌즈의 특성과 제조공정을 익혀 의료기기로서의 안경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임상실습 기초 및 응용Clinical Practice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사시학,안질환, 시기능이상 등의 학습한 내용을 연계하여 시기능 이상의 기본개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처방 원리를 이해하여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품 지식Product Knowledge
안경은 테와 렌즈로 구성된 상품이다. 테 소재로는 금속, 플라스틱, 천연재료가 사용되며 렌즈 소재는 유리, 플라스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재료의특성을 이해하고 제종공정, 물성, 가공법 등을 학습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I’Design ⅠII (사제동행(멘토링)형 교과목)
인성함양, 전공 소개 및 교과 안내, 대학 생활 적응, 대학 생활 동기부여, 진로경로(CDR) 안내, CDR 탐색 및 분석을 통하여 자신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통해 긍정적인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고 직업 생활에 필요한 역량을 발전시킨다.
진로커리어 코칭 ⅠII (사제동행(멘토링)형 교과목)
적성탐색검사, 직무보고서 작성, CDR별 기업분석, 의사소통능력 함양, 글쓰기 능력 함양, 전공별 CDR 결정, 기업분석, 취업 기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탐색하고 체험하여 활용하는 역량을 기른다.
취·창업실무 ⅠII (사제동행(멘토링)형 교과목)
취업성공사례 소개,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방법 안내, 직업기초능력평가, 모의면접, 채용서류 점검, 노동법 특강을 통해 자신의 CDR을 바탕으로 대학 졸업 이후 진로에 대하여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대비하는 역량을 기른다.